
안녕하세요. 테크 플랫폼부 이지성 과장입니다. 인공지능 소프트웨어를 기반으로 한 자율주행이 현실로 다가오고 있습니다. 그래서 KB금융 그룹에서도 전문가 특강을 오늘 열었습니다. 저는 "테슬라"의 주식을 아주 조금 가지고 있는 사람으로서, 주가에만 관심이 있었지, 자율주행 기술이 어떻게 이루어져 있는지 잘 알지 못해, 이번기회를 통해 정리를 해두려 합니다. 전문가 특강에서는 "서울 로보틱스 - 이한빈 대표" 님을 초빙하여 강의하였는데, 역시 공학도 답게 말주변(?)은 없으셨으나, 매우 유익한 시간이었습니다. 특히나 현재 어떤 기술들이 hot 하고 앞으로는 어떤 기술들에 투자를 해야하는지 나름대로의 큰 맥을 알려준 특강이었습니다. 그 중에서도 자율주행 기술의 핵심인 RADAR와 LiDAR에 대해서 정리해 보..

안녕하세요. 테크플랫폼부 이지성 과장입니다. 2021년의 첫 포스팅입니다. ^^; 오늘은 인공 신경망, Artificial Neural Network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인간의 뇌에는 많은 신경세포, 즉 뉴런(neuron)이 있다고 합니다. 간단히 말해서, 인간의 뇌에서 의사결정이 이루어 지는 과정, 인간의 뇌에 존재하고 있는 많은 신경세포들 즉, 뉴런을 통해 서로 상호작용하고, 이것을 기반으로 의사결정을 이루어지는 과정 자체를 모형화 한 것이 인공신경망, ANN 인 것입니다. 먼저 두뇌가 동작하는 방식을 설명드리면 아래 왼쪽 그림과 같습니다. 각각의 뉴런은 수상돌기(Dendrite)를 통하여 다른 뉴런으로부터 신호를 입력받아 (input) 축색돌기 (Axon)를 통해 다른 뉴런으로 신호를 내보내며..

안녕하세요. 은행 IT 운영부 이지성과장입니다. 오늘은 최적의 모델을 자동으로 찾아주는 앙상블 (ensemble) 기법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앙상블의 사전적 정의는 '2인 이상이 하는 노래나 연주' 라고 네이버 사전에 등재되어 있습니다. 네, 앙상블기법은 위 사전적 정의와 비슷하게 하나의 모델의 결과 보다는 여러 개의 모델을 동시에 테스트하여 비교, 통합을 통해 더 좋은 모델을 만들 수 있다는 생각을 기반으로 합니다. 예를들어, 수학문제 7-3=? 라는 문제를 동시에 5명이 풀었다고 가정해 봅시다. 이중 3명은 답을 4로, 2명은 답을 3으로 제출하였습니다. 다수결 원칙으로 답이 4일 확률이 더 높을 알 수 있습니다. 앙상블 기법이 무엇인지, 이제 좀 감이 오시죠?? 이러한 앙상블 기법의 대표..

안녕하세요. 은행 IT운영부 이지성과장입니다. 오늘은 머신러닝 모델에서 모델이 얼마나 좋은 성능을 내느냐 판단할 때 사용하는 기법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먼저, 머신러닝 모델 생성 부터 평가까지 의 간략한 과정에 대해서 설명해 드리면, 1) 모델 생성에 사용될 데이터 확보 및 정제 2) 모델 기법 생성 선택 (knn, SVM, 로지스틱회귀 등등등...) 3) 모델 생성 (데이터 중 일부를 학습. 즉 , train data) 4) 모델 검증 및 평가 (데이터 중 일부를 테스트. 즉, test data) 순으로 진행하게 됩니다. 오늘 소개해 드릴 모델은 모델생성 이후 모델을 검증 및 평가 하기 위한 기법 중에 하나인 cross fold validation 입니다. 이 기법의 기본적인 컨셉은 아래와 ..

안녕하세요. 은행 IT운영부 이지성과장입니다. 오늘은 머신러닝 중 실생활에 가장 많이 쓰이는 추천시스템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쿠팡이나, 지마켓, 옥션 등의 온라인 몰에서 어떤 특정 상품을 클릭했을 때, 연관 상품을 보여주는 경험은 한번 쯤 있으셨을 거라고 생각됩니다. (아래 그림은 "맥북"으로 옥션 사이트에서 검색하였을 때, 연관상품을 보여준 사례입니다) 이렇게 추천시스템은 사용자들의 취향을 분석하여 좋아할만한 콘텐츠를 추가적으로 알려주며, 사용자들로 하여금 새로운 상품을 구입할 수 있게 유도할 수 있고, 기업은 이것을 통해 이익을 얻을 수 있습니다. 최근 넥플릭스 사용자라면 아시겠지만, 넷플릭스에서 특히 많이 사용되고 있으며, 내가 시청한 동영상과 비슷한 종류의 동영상들을 추천해주고 있음을 ..

안녕하세요. 은행 IT운영부 이지성과장입니다. 코로나 바이러스가 3월에 더욱 기승을 부리고 있습니다. 머신러닝에 대한 흥미로운 기사를 보아서 소개해드리려 합니다. 코로나 관련 데이터를 기반으로 하여 "발병 예측 모델"을 국내의 한 대학원생이 만들어 배포하였다고 합니다. 머신러닝이 의학 및 의료 관련 정책에도 많이 사용될 수 있다는 가능성을 보여주는 대목인 것 같습니다. (데이터는 거짓말을 안하니까요 ^0^;;;) 링크 : https://m.etnews.com/20200306000213 韓 대학원생 '코로나 예측 데이터셋' 세계 배포 코로나19 확산을 막기 위해 데이터가 활용된다. 데이터를 투입해 인공지능(AI) 기술로 코로나19 확진자와 사망자를 예측한다. 특히 데이터 원재료를 한국 대학원생이 만들어 세..

위키피디아 링크 : https://en.wikipedia.org/wiki/Exploratory_data_analysis 탐색적 자료 분석은 존 튜키라는 미국의 저명한 통계학자가 창안한 자료 분석 방법론이다. 기존의 통계학이 정보의 추출에서 가설 검정 등에 치우쳐 자료가 가지고 있는 본연의 의미를 찾는데 어려움이 있어 이를 보완하고자 주어진 자료만 가지고도 충분한 정보를 찾을 수 있도록 여러가지 탐색적 자료 분석 방법을 개발하였다. 대표적인 예로 팍스플롯을 들 수 있다. 탐색적 자료 분석을 통하여 자료에 대한 충분한 이해를 한 후에 모형 적합 등의 좀 더 정교한 모형을 개발할 수 있다. (출처:위키피디아) 필요한 이유 (데이터 현상 이해, 잠재적 문제 및 패턴 발견, 가설 수정 또는 가설 생성) 첫째, 데..

안녕하세요. 은행 IT 운영부 이지성과장입니다. 오늘은 regression(회귀)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파전이 유명한 경희대 앞 "회기역"이 아닙니다.. (ㅋㅋ 아재개그 죄송합니다..ㅜ0ㅜ;;) 회귀라는 말의 기원은 Galton이라는 사람의 실험에서 부터 시작되었다고 합니다. 이 실험의 논문 이름은 "Regression towards Mediocrity in Hereditary Stature." 인데, 자식의 키가 부모 두명의 키의 평균으로 회귀(되돌아온다.. 사랑은 돌아오는거야~~) 한다는 뜻입니다. 대충봐도 부모의 키와 자식의 키의 상관관계에 대한 논문이겠죠? 회귀를 더 쉽게 설명하기 위해 뜬금없이 오뎅장사 이야기를 해보려고 합니다. 회기역 앞에서 오뎅장사를 하고 있는 김모씨는 날씨와 오뎅판매량의..
- Total
- Today
- Yesterday
- 정보관리기술사합격
- iso12207
- hackerrank
- 기술사
- FLASK
- 정보관리기술사독학
- 밀키트요리
- ISO 12207
- 131회정보관리기술사
- 기술사학원
- 콘도챗봇
- 밀키트
- pytorch
- 12207
- r
- 추천도서
- 정보관리
- AWS
- 추천시스템
- lambda
- 자기계발
- 정보관리기술사
- gpt3.5
- 로블록스
- 인조기프
- 머신러닝
- 챗봇
- IIS
- s3
- wfastcgi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