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먼저 web서버과 WAS의 개념을 잡아보겠습니다. 1. web server는 "정적인 서버입니다." 정적이라는 건 동적으로 뭔가 구현하기 어렵고 이미 만들어진 파일을 그대로 보여주거나 (이미지) 정해진 요청을 처리하는 (HTTP)입니다. -화면에 이미지를 보여준다. (jpg, png 파일처리) -화면에 이쁘게 색을 칠해준다. (css) -화면에 표를 그려주고 버튼을 생성한다. (html) 2. WAS (web application server)는 "동적인 서버입니다." WAS는 web server + web container가 합쳐진 형태로, web server에서 처리하는 정적인 요소 외에 동적으로 처리할 요소, 예를들면 비즈니스 로직 처리 , DBMS 연동 처리 등을 담당합니다. WAS의 대표적인 예..

안녕하세요. 그야말로 클라우드 서비스는 IT 서비스 업계에서 거스를 수 없는 대세인 듯 합니다. 온프레미스에서 클라우드로의 전환 속도가 제가 생각했던 것 보다 더욱 빠르게 진행되고 있는 것 같습니다. pay-as-you-go 특징으로 그만큼 재무적인 관점에서 클라우드 서비스를 이용하는 것이 기업 입장에서 여러모로 이득이라고 판단한 결과라고 생각되어 집니다. 코로나 - 19 델타 변이 확산으로 약 3일동안 재택근무를 하였습니다. 아무래도 출퇴근 시간이 빠지다보니 이 시간을 아껴서 뭘 할 수 있을 까 생각하다가, 1년전 MS AZURE 자격증이 있다는 것이 생각이 났습니다. 당시 시험 응시 무료 바우처도 받았던 것으로 생각되는데, 헉...기간이 만료되었네요...ㅠㅠ MS 학습사이트에서 일단 AZ-900 (A..
- Total
- Today
- Yesterday
- 머신러닝
- 131회정보관리기술사
- 밀키트
- iso12207
- 콘도챗봇
- 정보관리기술사
- gpt3.5
- 12207
- s3
- 추천시스템
- 로블록스
- 챗봇
- wfastcgi
- pytorch
- IIS
- AWS
- 인조기프
- 기술사
- FLASK
- 기술사학원
- 정보관리기술사독학
- 정보관리기술사합격
- 추천도서
- 정보관리
- 자기계발
- ISO 12207
- r
- lambda
- 밀키트요리
- hackerrank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