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제 Flask를 통해 어느정도 화면개발이 완료되어 로컬 개발 서버가 아닌 실제 서버로 소스를 이관하고 서비스를 해보려 했습니다. 현재 가용한 서버가 windows서버밖에 없어 iis를 통해 서비스를 해보려 합니다. iis는 아파치와 같이 웹서버 역할을 해주는 Mircosoft에서 개발한 cgi 서비스 입니다. 처음에는 만만해 보였으나 거의 2주를 넘게 삽질을 했기 때문에 중요한 핵심포인트 들을 포스팅합니다. 이대로 따라만 하시면 Flask, Django도 iis를 통해 웹서비스 하실 수 있습니다. 1) wfastcgi 설치와 복사 그리고 지원하는 python 버전 확인 ---> 중요 wfastcig는 pip install wfastcgi를 통해 가장 최신버전의 라이브러리를 설치합니다. 그런데 이것보다도..

Flask run으로 실행 후 서버로 사용을 해도 되지만, 정식 서비스의 경우 cgi를 통해서 서비스를 하는 것을 권장하고 있어 Windows server에서 제공하는 IIS와 Flask를 연동하려는 도중, 분명히 자체 개발 환경에서는 import 에러가 없었는데, iis에서 첫 화면을 호출 하면 'pybo' can not be imported error가 발생합니다. 제 개발 폴더의 구조는 아래와 같습니다. 첫번째 시도 - PYTHONPATH를 myproject38/pybo로 설정, WSGI_HANDLER를 __init__.create_app() 으로 설정 이럴 경우 pybo를 최상위 폴더로 인식하고 'pybo' can not be imported error 가 발생합니다. 두번째 시도 - PYTHON..
- Total
- Today
- Yesterday
- AWS
- 기술사
- 12207
- 머신러닝
- 콘도챗봇
- FLASK
- 정보관리기술사독학
- pytorch
- 정보관리
- r
- 밀키트
- 챗봇
- 기술사학원
- lambda
- hackerrank
- iso12207
- 로블록스
- gpt3.5
- IIS
- 자기계발
- ISO 12207
- 추천시스템
- s3
- 정보관리기술사
- 정보관리기술사합격
- wfastcgi
- 131회정보관리기술사
- 밀키트요리
- 추천도서
- 인조기프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